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식품 코팅 기술: 유통기한을 늘리고 식품 손실을 줄이는 미래 솔루션
    미래식량 2025. 4. 13. 20:03

    식품 코팅 기술: 유통기한을 늘리고 식품 손실을 줄이는 미래 솔루션

    지속 가능한 식품 소비가 전 세계적인 과제가 되면서, 식품 코팅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식품의 유통기한을 연장하고, 식품 손실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친환경 소비와 식량 자원 효율화가 중요한 농업·식품 산업 현장에서 혁신적인 해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식품 손실의 심각성

    세계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생산 식량의 약 30~40%가 소비되기 전에 폐기됩니다. 특히 과일, 채소, 유제품 등은 신선도 유지를 위한 관리가 어렵고, 유통기한이 짧아 폐기율이 높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연간 약 500만 톤 이상의 음식물이 버려지며, 이 중 상당수가 신선식품입니다. 이처럼 식품 손실 문제는 단순한 낭비를 넘어, 환경오염과 자원 낭비로 이어지고 있어 사회적 해결이 절실합니다.

     

    식품 코팅 기술: 유통기한을 늘리고 식품 손실을 줄이는 미래 솔루션


    식품 코팅 기술이란?

    식품 코팅(Food Coating) 기술이란, 식품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식품을 보호하는 기술입니다. 이 코팅막은 산소, 수분, 미생물, 빛 등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조절하여 식품의 부패를 늦추고, 신선도를 오래 유지시켜줍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팅 재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식물성 왁스 (예: 감귤류, 사과 등)
    • 천연 다당류 (예: 알긴산, 펙틴, 키토산)
    • 단백질 기반 재료 (예: 젤라틴, 유청 단백질)
    • 지질 계열 물질 (예: 셀룰로오스 기반의 필름)

    식품 코팅 기술의 주요 효과

    1. 유통기한 연장

    식품 코팅은 산소 및 습기와의 접촉을 줄여 부패 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아보카도에 식물성 코팅을 적용하면 부패를 2배 이상 늦출 수 있으며, 딸기나 토마토 같은 연약한 과일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해집니다.

    2. 식품 손실 감소

    코팅 기술은 소비자가 구매 후 보관 중에 식품을 더 오래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는 소매점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식품 폐기량을 줄이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

    3. 화학첨가물 사용 감소

    식품 보존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부제나 화학 코팅제 대신, 천연 소재를 이용한 식품 코팅친환경적이며 인체에도 안전합니다. 이는 유기농 제품이나 친환경 식품 시장에도 적합한 솔루션입니다.


    주목받는 스타트업과 기술 사례

    Apeel Sciences (미국)

    이 기업은 식물성 지방과 글리세롤에서 추출한 성분을 활용한 식품 코팅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아보카도, 레몬, 오이 등의 유통기한을 2~3배 연장시켜 미국 대형 유통업체와 계약을 체결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Mori (구 Cambridge Crops)

    실크 단백질을 활용한 식품 코팅 필름을 개발한 스타트업으로, 고기, 해산물, 농산물 등 다양한 식품군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미국 농무부(USDA)의 지원을 받아 상용화를 진행 중입니다.


    농산물 현장 적용 가능성

    특히 로컬푸드 직매장, 체험농장, CSA(커뮤니티 지원 농업) 등에서 식품 코팅 기술을 도입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농산물의 저장성 향상: 당일 수확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
    • 판매 손실 최소화: 판매기간 중 부패율 감소
    • 소비자 만족도 향상: 오래가는 신선식품 제공 가능
    • 브랜드 가치 상승: 친환경 이미지 강화

    적용 시 고려사항

    식품 코팅 기술은 효율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점을 사전에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코팅 원료의 안전성 및 인증 여부
    2. 작물의 특성과의 적합성
    3. 도포 방식(분무, 침지 등)의 용이성
    4. 추가 원가에 대한 시장 수용성
    5. 자체 가공 시스템이 있는지 여부

    앞으로의 전망과 결론

    식품 코팅 기술은 단순히 유통기한을 늘리는 기술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농업과 식량 시스템을 구축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 물류비 상승, 인플레이션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이 식량안보를 위협하는 시대에, 기술을 활용한 손실 절감은 곧 경쟁력입니다.

    국내 농업과 식품 산업에서도 이 기술에 대한 연구, 실증, 상용화 노력이 더욱 확대되어야 하며, 중소 농가도 협업을 통해 기술을 도입할 수 있는 협동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