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별 추천 작물과 재배 포인트 – 아이와 함께하는 사계절 텃밭텃밭 2025. 5. 2. 22:57
월별 추천 작물과 재배 포인트 – 아이와 함께하는 사계절 텃밭
아이와 함께 텃밭을 운영하고 싶은데, 어떤 작물을 언제 심어야 할지 헷갈리시나요?
사계절이 뚜렷한 한국 기후에서는 월별로 심고 가꿀 수 있는 작물이 다양하며, 각 시기에 맞는 작물을 선택하면 실패 확률도 줄고 아이의 흥미도 훨씬 높아집니다.이 글에서는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로 추천 작물과 그 작물의 재배 포인트, 아이와 함께할 수 있는 활동 아이디어까지 함께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가정, 학교, 체험농장 어디서든 활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 1~2월: 준비의 달 – 씨앗 정리 & 실내 키우기
이 시기는 본격적인 파종 전 준비 기간입니다. 날씨가 추워 실외 활동은 제한적이지만, 아이와 실내 텃밭을 시도하기 좋은 시기입니다.
추천 작물
- 새싹채소 (무순, 브로콜리, 적무 등)
- 허브 (바질, 민트 – 실내에서 키우기 용이)
포인트
- 실내 햇빛 좋은 곳에서 수경재배 또는 화분에 배양토로 시작
- 빠른 생장으로 아이들이 흥미를 느끼기 쉬움 (2~5일 만에 싹 트는 작물 위주)
활동 아이디어
- 씨앗 이름표 만들기, 성장일기 작성
- ‘씨앗 관찰 확대경’ 등 과학놀이와 접목
✅ 3~4월: 봄철 파종 시작 – 텃밭 개장식과 씨앗 심기
기온이 점차 오르며 본격적인 야외 텃밭 활동이 가능해지는 시기입니다.
아이들이 씨앗을 직접 심고, 흙을 만지며 본격적인 텃밭의 재미를 느끼는 출발점입니다.추천 작물
- 상추, 쑥갓, 열무, 청경채 (발아와 생장 속도가 빠름)
- 당근, 비트 (뿌리채소 관찰 학습에 좋음)
- 감자 (3월 중순~4월 초에 심으면 6월 수확 가능)
포인트
- 감자심기는 아이들에게 큰 즐거움과 함께 수확의 재미를 예고하는 활동
- 4월 말경 모종도 판매 시작하므로 고추, 토마토 모종도 가능
활동 아이디어
- 씨감자 반 자르기와 싹 확인하기
- 흙 속 당근 줄기 위로 눈금 자 붙여서 성장 비교
- 아이 이름이 적힌 라벨로 나만의 작물 만들기
✅ 5~6월: 성장과 관찰 – 식물의 생명을 느끼는 시기
식물이 빠르게 자라고 꽃을 피우는 시기입니다. 물 주기, 병충해 관찰, 유인 줄 매기 등
작물 관리의 핵심을 경험할 수 있으며, 아이들도 식물의 성장 속도를 실감하게 됩니다.추천 작물
- 방울토마토, 고추, 가지 (모종 구입 후 심기)
- 오이, 상추, 바질 등 여름 대비 빠르게 자라는 작물
- 옥수수 (단옥수수는 아이들에게 인기 많음)
포인트
- 이 시기부터 해충(진딧물, 깍지벌레 등)에 주의 필요
- 토마토 유인줄 설치와 가지치기 활동은 아이들에게 ‘식물 돌보기’ 경험 제공
활동 아이디어
- 식물 키 측정 그래프 만들기
- 매일 사진 찍어 ‘성장 포토북’ 만들기
- 해충 찾기 놀이 (루페로 잎 뒷면 관찰)
✅ 7~8월: 여름철 관리 – 물 주기와 수확의 기쁨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텃밭 관리가 중요한 시기입니다. 물 관리에 집중해야 하고, 몇몇 작물은 수확 시기를 맞이합니다.
추천 작물
- 오이, 상추, 가지, 고추 → 수확 본격화
- 여름 무, 열무, 미나리 → 그늘+물 조건 시 가능
- 모기쫓는 허브 (제라늄, 페퍼민트)
포인트
- 하루 두 번 이상 물 주기 필요
- 여름철 체험장은 ‘수확 체험’ 중심으로 구성
활동 아이디어
- ‘채소로 요리하기’ 수업: 직접 키운 상추로 쌈 싸기
- 열무 물김치 만들기 (아동 참여형 요리 수업)
✅ 9~10월: 가을 작물 파종 – 두 번째 시즌의 시작
여름 작물이 끝나고, 가을 작물의 두 번째 파종이 시작됩니다. 날씨가 선선하고 아이들의 야외 활동도 활발해지는 시기입니다.
추천 작물
- 무, 배추, 갓, 알타리무 → 김장 채소로도 활용 가능
- 쪽파, 대파 → 비교적 간단하게 키울 수 있음
- 당근, 비트, 브로콜리
포인트
- 배추는 벌레가 잘 끼므로 유아/초등 활동 시 그물망 텐트 활용 추천
- 9월 중순까지는 씨앗 파종, 이후는 모종 식재 위주
활동 아이디어
- ‘나만의 김장 채소 기르기’ 프로젝트
- 수확 작물로 미니 김장 체험 진행
- 쪽파 뽑기 놀이 (모래놀이터 대체 활동)
✅ 11~12월: 정리와 되돌아보기 – 텃밭 마무리
겨울이 다가오면서 텃밭 활동은 마무리 단계로 접어듭니다. 식물을 정리하고, 일지를 되돌아보는 시간입니다. 아이에게도 성찰의 기회를 줄 수 있습니다.
추천 작물
- 실내 허브, 무순, 새싹채소
- 겨울 냉해에 강한 마늘, 양파(11월 초 심기 가능)
포인트
- 식물 뽑고 퇴비 넣기: 생명의 순환 개념 교육
- 내년 작물을 위한 씨앗 채종 및 보관 활동 가능
활동 아이디어
- ‘나의 텃밭 책’ 만들기: 1년 간 사진과 그림, 일지 정리
- ‘텃밭 시상식’: 가장 정성껏 기른 아이, 가장 열심히 물 준 아이 등
- 내년 작물 리스트 미리 계획해보기
🌱 아이와 함께하는 텃밭, 계절을 배우는 교과서
월별로 작물을 달리 심고 가꾸는 일은 단순한 농사 활동이 아닙니다.
아이에게는 계절의 흐름, 생명의 순환, 인내와 노력의 보람, 음식에 대한 이해까지 통합적으로 전달되는 살아있는 학습의 장입니다.다양한 작물을 직접 보고 만지며 익히는 경험은 자연스러운 과학 학습이 되고, 수확을 통해 얻는 성취감은 자기효능감을 키워주는 소중한 기회가 됩니다.
마무리하며 – 텃밭은 아이의 성장일지입니다
텃밭은 단순히 채소를 키우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하루하루가 자라나는 공간입니다.
아이와 함께한 시간, 키운 작물, 실패와 성공의 과정 모두가 교육 이상의 가치를 지닙니다.이제 달력 한 켠에 월별 작물 스케줄을 그려보세요.
텃밭을 통해 사계절을 배우고, 자연을 느끼며, 아이와 함께 성장하는 한 해를 만들어 보시길 바랍니다.'텃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평 텃밭으로 시작하는 친환경 채소 재배법 (0) 2025.05.08 도시농업과 ESG 실천법: 실내·실외에서 가능한 친환경 농법 (1) 2025.05.08 텃밭 준비물과 공간 만들기 (0) 2025.05.02 왜 아이들과 텃밭을 해야 할까? (0) 2025.05.02